이기적 유전자(10장)_내 등을 긁어 줘, 나는 네 등 위에 올라탈 테니 (2)
협력은 왜 진화했을까요?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을 돕고 보답을 기대하지만, 항상 기대한 결과를 얻지는 못합니다. 리처드 도킨스는 협력의 진화를 논하며, 보상의 지연이 협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협력이 어떻게 유지될 수 있을지, 그리고 사기꾼의 등장이 협력의 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
3. 협력의 진화
_3.1 호혜적 이타주의
_3.2 봉과 사기꾼
_3.3 원한자
_3.4 경쟁의 결과
_3.5 청소어
_3.6 인간의 개체 식별 능력
3. 협력의 진화
3.1 호혜적 이타주의
새와 포유류 같은 털을 가진 동물들은 서로의 털 속에 있는 진드기를 골라주곤 합니다. 간혹 아주 더러운 진드기가 동물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자신의 부리나 손이 닿는 곳은 진드기를 떼어낼 수 있지만, 머리 꼭대기나 등처럼 닿기 어려운 부위는 혼자서 해결하기 너무 어렵습니다. 그래서 동물들은 서로를 돕습니다. "내가 너의 진드기를 떼어낼테니, 너도 내 진드기를 떼어내줘." 하고 말이죠.
3.2 봉과 사기꾼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내가 상대의 진드기를 열심히 떼어준 뒤, 보답을 요구하니 상대가 그냥 도망갑니다? 이렇게 도움을 받고 보답하지 않는 경우 협력 시스템은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물들은 어떻게 협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협력의 진화는 정말로 가능할까요?
한 번 이런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어떤 개체들은 누구에게나 털을 골라주는 '봉' 전략을 따르고, 반대로 어떤 개체들은 도움을 받기만 하고 절대 보답하지 않는 '사기꾼' 전략을 따릅니다. 처음에는 '봉'이 많아 협력관계가 유지되지만, ('사기꾼'의 이익이 너무 크므로 그 유전자가 퍼져서) 시간이 지나면서 '사기꾼'이 점차 늘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사기꾼의 수가 점점 늘어날수록 봉은 점점 손해를 보게 되고, 진드기 때문에 건강이 악화되며 생존률이 낮아집니다. 결국 '봉'이 줄어들고, 개체군 전체의 생존이 위협받게 되요. 만약 '사기꾼'이 90%까지 늘어나면 털을 손질해 줄 개체가 사라지고, 진드기 감염이 확산되어 모두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됩니다. 최악의 경우, 개체가 전멸할 수도 있어요.
3.3 원한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봉'과 '사기꾼' 전략 두 가지만 고려했을때 협력은 진화하기 어렵습니다. 여기에 '원한자'를 추가해봅시다. '원한자'는 새로운 개체나 이전에 협력했던 개체에게는 이타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자신을 속인 개체를 기억하고 협력을 거부합니다.
만약 원한자가 개체군에서 많을 경우, 사기꾼의 생존율은 급격히 떨어집니다. 원한자는 사기꾼의 털을 손질해주지 않기 때문이죠. 원한자가 사기꾼을 배제하면서 협력적인 관계는 생존에 유리해집니다. 어쩌면 '기억'이 사기꾼을 이기고 협력을 진화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기꾼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들의 수가 적어지면 원한자는 같은 사기꾼을 다시 만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인데요, 결국 완벽한 협력은 어렵지만 원한자 전략이 개체군의 협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3.4 경쟁의 결과
사기꾼이 번성하면 협력관계는 붕괴하고, 궁극적으로는 개체군의 절멸 가능성이 높아져요. 반면, 원한자가 개체군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 협력이 유지될 수 있죠.
리처드 도킨스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봉, 사기꾼, 원한자라는 세 가지 전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을 소개합니다.
- 초기: 봉이 많고, 원한자와 사기꾼이 적은 상태에서 출발.
- 단계 1: 사기꾼이 봉을 착취하며 급증하고, 봉이 급격히 감소.
- 단계 2: 봉이 사라지고 사기꾼이 원한자를 압박하지만, 원한자는 생존 유지.
- 단계 3: 사기꾼은 더 이상 봉을 착취할 수 없어 감소, 원한자는 점차 증가.
- 단계 4: 원한자가 사기꾼을 결국 몰아내고 개체군이 협력적 구조로 전환.
역설적인 것은 봉의 존재가 초기 사기꾼의 확산을 부추긴다는 점입니다. 협력은 단순한 호의로만 유지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3.5 청소어
바다 속에도 이타적인 행동이 존재할까요? 놀랍게도 그렇습니다. 대형 어류와 청소어의 관계는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청소어는 대형 어류의 몸에 붙은 기생충을 먹으며 살아가고, 대형 어류는 깨끗해지는 이점을 누리죠. 마치 이발소에 줄을 서듯이, 대형 어류들은 차례를 기다리며 청소어의 도움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 관계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일부 소형 어류는 청소어처럼 행동하며 대형 어류를 속이고는, 대형 어류가 방심한 순간, 기생충을 제거하는 대신 살점을 물어뜯고 도망가는 것이죠. 이러한 사기꾼의 존재는 청소어의 생존에 위협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어의 독특한 생존 전략 덕분에 이 관계는 유지됩니다. 청소어는 특정 지역을 고수하며, 대형 어류는 동일한 청소어를 찾아갑니다. 이런 지역 고착성은 대형 어류가 신뢰를 유지하고 사기꾼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6 인간의 개체 식별 능력
인간은 오랜 기억과 뛰어난 개체 식별 능력을 통해 서로 협력하며 살아왔습니다. 우리는 서로 도움을 주고받고, 이를 기억하며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하죠. 이러한 능력은 호혜적 이타주의의 진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진화심리학자인 트리버스는 인간의 감정, 예를 들어 질투, 죄책감, 감사와 같은 감정들이 사회적 협력을 유지하고, 사기꾼을 판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인간 사회에서 등장하는 '교활한 사기꾼'입니다. 겉으로는 도움을 갚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받은 것보다 적게 돌려주는 사람들이죠. 책에서는 이러한 사기꾼들을 간파하기 위해 인간은 더욱 정교한 계산 능력과 사회적 규범을 발전시켰을 수 있다고까지 말합니다.
오늘날 돈은 호혜적 이타주의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돈은 즉각적인 보답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신뢰를 기반으로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니까요. 사회는 이를 통해 장기적인 협력을 유지하며, 신뢰 체계를 강화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인간의 진화와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협력은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에도 중요한 생존전략입니다. 사기꾼은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지만, 기억과 개체식별능력, 그리고 사회적 규범 등이 이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돈'은 신뢰의 상징이면서 협력의 도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호혜적 이타주의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생각해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