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협력의진화2

이기적 유전자(10장)_내 등을 긁어 줘, 나는 네 등 위에 올라탈 테니 (2) 협력은 왜 진화했을까요?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을 돕고 보답을 기대하지만, 항상 기대한 결과를 얻지는 못합니다. 리처드 도킨스는 협력의 진화를 논하며, 보상의 지연이 협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협력이 어떻게 유지될 수 있을지, 그리고 사기꾼의 등장이 협력의 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3. 협력의 진화_3.1 호혜적 이타주의_3.2 봉과 사기꾼_3.3 원한자_3.4 경쟁의 결과_3.5 청소어_3.6 인간의 개체 식별 능력3. 협력의 진화3.1 호혜적 이타주의새와 포유류 같은 털을 가진 동물들은 서로의 털 속에 있는 진드기를 골라주곤 합니다. 간혹 아주 더러운 진드기가 동물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자신의 부리나 손이 닿는 곳은 진드기를 떼어낼.. 2025. 1. 21.
이기적 유전자(10장)_내 등을 긁어 줘, 나는 네 등 위에 올라탈 테니 (1) 개미와 벌, 말벌 등 사회성 곤충들은 어떻게 집단을 이루고 살아갈까요? 이타적으로 보이는 사회성 곤충의 집단생활 또한 이기적 유전자의 전략적 결과입니다. 이기적 유전자 10장에서는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며, 개체 간의 협력이 어떻게 진화했는지까지 살펴봅니다 | 목차 |1. 집단 형성이 주는 이익_1.1 이기적 무리_1.2 경계음_1.3 가젤의 높이뛰기2. 사회성 곤충_2.1 일꾼들은 불임이다_2.2 번식과 분업_2.3 벌목 곤충의 성 결정 시스템_2.4 벌목 곤충의 성비 결정_2.5 노예 사역 개미_2.7 농장과 가축_2.8 상리 공생 1. 집단 형성이 주는 이익많은 동물들은 무리를 짓는 습성이 있습니다. 새들도, 곤충도, 물고기과 고래도 떼를 지어 다니죠. 왜 그럴까요? 책에서는 무리를 지어 산다면 .. 2025. 1. 20.